자연스러운 영성, 생활화된 헌신
우리 교회가 추구하는 영성은 “자연스로운 영성과 생활화된 헌신”입니다. 즉 삶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영성과 헌신입니다. 이러한 교회가 되기 위하여서는 분위기가 넉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교회에서는 매년 사역 평가를 해서 경쟁심리를 부축이고, 실수를 하면 비난하여 힘들게 만드는 분위기를 만듭니다.
그러나 교회는 사명 공동체인 동시에 치유 공동체입니다. 교회에서는 유능한 사람뿐만이 아니라 능력이 모자라는 사람도 기를 펼 수 있어야합니다.
주님의 사역을 효율적으로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효율만을 지나치게 중시하다보면 군대나 회사처럼 분위기가 빡빡해질 수 있습니다. 교회는 실수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여유를 허락해야합니다. 계절에 사이클이 있듯이 믿음도 식었다 뜨거워졌다 하고, 헌신도도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법입니다. 식거나 떨어지더라도 너무 위기감을 느끼지 말고 회복될 때를 기다리며 품어주는 여유가 있어야합니다. 예배도 은혜로울 때가 있고 덜 은혜로울 때가 있습니다. 설교도 좋을 때가 있고 안 좋을 때가 있습니다. 항상 최고의 것, 완전한 것을 추구하다보면 분위기가 경직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불성실하게 사역을 해도 된다는 것이 아닙니다. 주님의 사역은 하나님의 상급이 따르는 특권입니다. 그러나 자발적으로 해야지 밀려서 하면 오래 못 갑니다. 자신이 열심히 한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똑같은 기준으로 평가를 하면 안됩니다. 자신에게는 철저하고 이웃에게는 관대해야합니다. 자신은 주님 닮으려고 부단히 몸부림치지만 주님 닮지 못한 사람을 따듯하게 용납할 수 있어야하고, 자신이 은사를 최대한으로 발휘하려고 노력해야하지만 능력이 부족한 사람을 수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그래야 분위기가 넉넉해지고 “자연스러운 영성과 생활화된 헌신”이 이루어집니다.
참고: 국제 가사원 원장 최영기목사님의 글을 일부 수정하여 기록하였습니다.